본문 바로가기
일기장/잡동사니

친구 패러독스(Friendship Paradox)

by AdiosGallery 2025. 3. 18.
반응형

 

친구 패러독스(Friendship Paradox)

 

 

 

 

 

 

친구 패러독스는 네트워크 이론에서 나오는 통계적 현상

 

"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보다 친구가 더 많은 친구를 가지고 있다"

 

 

대부분 자신이 평균적인 친구 수를 가졌을 거라고 생각하지만, 실제로 내 친구들은 평균 친구수가 나보다 더 많을 확률이 높다는 것

 

즉, 내가 가진 친구 수 < 내 친구들의 평균 친구 수

 

친구들이 인스타그램 팔로워를 더 많이 갖고 있다는 느낌이 대표적 사례임

 

 

패러독스는 단순히 수학적 현상에서 비롯됨

 

1) 소수의 인기 많은 사람이 연결을 독점

- 네트워크에서 일부 사람들(인기인)은 매우 많은 친구를 가짐

- 이들은 여러 사람과 연결되어 있어 평균을 왜곡함

2) 무작위로 친구 선택 시, 인기 있는 친구일 확률이 높음

- 친구가 많은 사람일수록 더 많은 사람과 연결되기 때문

- 랜덤하게 선택한 친구가 평균보다 더 많은 친구를 가질 가능성이 높음

 

 

예시) 사람: 친구수

A: 2

B: 3

C: 4

D: 5

E: 6

F: 10

 

내가 평균적인 친구 A, B, C, D 중 한 명일 경우 내가 가진 평균 친구 수는 3~4명 정도

 

그런데, 내 친구들(F 포함)의 평균 친구 수를 계산하면, 더 높은 값이 나올 가능성이 큼

 

왜냐하면 친구를 많이 가진 사람과 연결될 확률이 높음

 

 

 

역설이라기보다는 통계적 착시에 가까움

 

네트워크에서 무작위로 친구를 골랐을 때, 인기 있는 사람이 더 자주 선택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비롯된 것

 

 

즉, 내가 친구가 적은 게 아니라 네트워크 구조 때문

 

 

 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