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친구 패러독스(Friendship Paradox)
친구 패러독스는 네트워크 이론에서 나오는 통계적 현상
"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보다 친구가 더 많은 친구를 가지고 있다"
대부분 자신이 평균적인 친구 수를 가졌을 거라고 생각하지만, 실제로 내 친구들은 평균 친구수가 나보다 더 많을 확률이 높다는 것
즉, 내가 가진 친구 수 < 내 친구들의 평균 친구 수
친구들이 인스타그램 팔로워를 더 많이 갖고 있다는 느낌이 대표적 사례임
패러독스는 단순히 수학적 현상에서 비롯됨
1) 소수의 인기 많은 사람이 연결을 독점
- 네트워크에서 일부 사람들(인기인)은 매우 많은 친구를 가짐
- 이들은 여러 사람과 연결되어 있어 평균을 왜곡함
2) 무작위로 친구 선택 시, 인기 있는 친구일 확률이 높음
- 친구가 많은 사람일수록 더 많은 사람과 연결되기 때문
- 랜덤하게 선택한 친구가 평균보다 더 많은 친구를 가질 가능성이 높음
예시) 사람: 친구수
A: 2
B: 3
C: 4
D: 5
E: 6
F: 10
내가 평균적인 친구 A, B, C, D 중 한 명일 경우 내가 가진 평균 친구 수는 3~4명 정도
그런데, 내 친구들(F 포함)의 평균 친구 수를 계산하면, 더 높은 값이 나올 가능성이 큼
왜냐하면 친구를 많이 가진 사람과 연결될 확률이 높음
역설이라기보다는 통계적 착시에 가까움
네트워크에서 무작위로 친구를 골랐을 때, 인기 있는 사람이 더 자주 선택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비롯된 것
즉, 내가 친구가 적은 게 아니라 네트워크 구조 때문
반응형
'일기장 > 잡동사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능 패러독스(Omnipotence Paradox) (0) | 2025.03.27 |
---|---|
창과 방패 패러독스 (Paradox of the Spear and Shield) (0) | 2025.03.26 |
태세우스의 배 패러독스 (Ship of Theseus Paradox) (0) | 2025.03.25 |
아킬레우스와 거북이 패러독스(Achilles and the tortoise paradox) (0) | 2025.03.12 |
할아버지 패러독스(Grandfather Paradox) (0) | 2025.03.10 |
댓글